우분투2 5. pivot_root로 루트 파일 시스템 바꾸기 Go로 "컨테이너스러운" 프로세스를 만들어보자. 지난 포스팅에서 chroot()를 사용해 Mount 네임스페이스를 격리하였다. 하지만, 이 상황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.chroot()는 단순히 루트 디렉토리의 보이는 경로를 바꾸고 기존 루트가 그대로 남아있다. 따라서, .. 등으로 탈출 가능성이 있어 보안상 불완전하고 프로세스가 여전히 이전 루트를 참조한다.따라서 오늘은 pivot_root를 사용해 정상적인 루트 격리 환경을 만들 것이다. 이때, 우분투 베이스 파일시스템을 사용해 실사용 컨테이너 환경에 가까운 구조를 만들자.🔍 왜 pivot_root?pivot_root는 chroot와 다르게 루트 디렉토리 자체를 완전히 교체한다. 기존 루트가 새 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이전 루트 자체가 사라진다... 개발일기/Docker 2025. 6. 16. ubuntu환경에서 node 버전 올리기 ubuntu 초기 설정에서 신기한 일을 발견했다.apt install nodejsnpm을 사용할 일이 있어서 ubuntu환경에서 npm을 설치하고 버전을 확인해보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.node -v# v12.0.~~현시점 nodejs 의 최신 LTS 버전은 v20.17.0이다. 한참 낮은 버전이 설치되는 이유는 뭘까? Ubuntu 리포지토리에서는 장기 지원(LTS) 버전에 대한 안정성을 중시하여 새로운 버전이 빠르게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. 특히, Nodejs와 같은 패키지는 업그레이드 시 호환성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레포지토리에서 오래된 버전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.해결법해결법이 상당히 많다. 그중 하나만 소개해보겠다.sudo apt update# apt 에서 제공하는 node 설치sudo apt.. 개발일기/Linux 2024. 10. 1. 이전 1 다음